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중이염 증상, 원인, 치료법, 전염, 통증, 항생제
    두울 2025. 4. 18. 08:40

     

    중이염 정의
    중이염(Otitis Media)은 고막 안쪽의 중이강(tympanic cavity)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를 통칭한다. 급성 중이염(Acute Otitis Media, AOM)과 삼출성 중이염(Otitis Media with Effusion, OME), 만성 중이염(Chronic Otitis Media)으로 분류되며, 특히 소아에서 매우 흔한 질환이다.

    분류
    급성 중이염(AOM)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중이강 내에 염증과 삼출물이 급성으로 발생한다. 주로 고열, 귀 통증, 전신 증상을 동반한다.

    삼출성 중이염(OME)
    염증 소견은 급성기보다 경미하나, 중이강에 점액성·점액농성 삼출물이 고인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된다. 통증은 적으나 청력 저하가 두드러진다.

    만성 중이염(Chronic Otitis Media)
    고막 천공(persistent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 또는 지속적 삼출물 배출(otorrhea)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말한다. 재발성, 난치성 경과를 보인다.

    원인

    • 상기도 감염 후 2차 감염
      감기·인플루엔자 같은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 시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이 부종되어 환기가 불량해지고, 이후 세균(폐렴구균·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모락셀라카타랄리스 등)이 침투해 발생
    • 알레르기 비염 및 부비동염
      비강·부비동의 염증이 유스타키오관 기능을 저하시켜 중이에 액체가 고이게 함
    • 아데노이드 비대
      소아에서 아데노이드 조직 비대로 유스타키오관 입구가 막혀 환기가 저해됨
    • 해부학적 이상
      태아 발달 이상·선천성 두개 안면 기형 등이 유스타키오관 구조를 비정상으로 만들어 발생 위험 증가
    • 흡연 및 환경요인
      수동흡연, 대기오염, 영양결핍 등은 점막 방어 기능을 약화시킨다.

    병인생리
    유스타키오관의 환기·배액·방어 기능 이상 → 중이강 내 압력 변화 및 액체 저류 → 중이 점막 부종·삼출물 생성 → 염증 악화 및 고막 팽창 → 통증 및 기능 장애

    증상

    • 귀 통증(Otalgia)
      특히 AOM에서 특징적이며, 삼출물이 많아지거나 고막이 팽창될 때 심해진다.
    • 청력 저하(Hearing Loss)
      삼출물이 고이면 음파 전달이 방해되어 전음성 난청이 발생한다.
    • 발열 및 전신 권태
      AOM 시 미열에서 고열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소아는 보채고 수면장애가 심해진다.
    • 이명(Tinnitus)
      중이 내 액체가 진동을 방해하여 귀울림을 경험할 수 있다.
    • 이출혈(Otorrhea)
      고막 천공 시 고름 또는 혈성 삼출물이 외이도로 흘러나온다.
    • 균형감각 장애
      중이와 내이는 가까이 있어 현기증을 호소할 수 있다.

    진단

    • 이경 검사(Otoscopy)
      중이 삼출물(흰색·황색·녹색 병변), 고막 팽창, 발적, 천공 여부 관찰
    • 고실조영검사(Tympanometry)
      고막 움직임 평가로 중이 압력 및 액체 유무 확인
    • 청력 검사
      순음청력검사(PTA) 및 임피던스 검사로 난청 정도 평가
    • 영상 검사
      만성 합병증(만성 유양돌기염·뇌농양 등)이 의심될 때 CT/MRI

    전염성
    중이염 자체는 전염되지 않으나, 기저 상기도 감염(감기·인플루엔자)은 호흡기 비말 접촉으로 전파된다. 상기도 감염 중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중이염이 2차 발생하는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감기 예방(손 씻기·마스크 착용)이 중이염 예방에도 중요하다.

    통증 및 합병증

    • 통증 관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나 아세트아미노펜으로 통증·발열 조절
    • 급성 합병증
      고막 자연 파열, 전 치골충돌, 유양돌기염, 괴사성 중이염
    • 심각한 합병증
      안와 농양, 경막염, 뇌농양, 정맥동 혈전증 등 생명 위협

    치료 원칙

    • 경과 관찰(Watchful Waiting)
      6개월 이상 소아 AOM 경미 증상 시 48–72시간 관찰 후 개선 없으면 항생제 투여
    • 약물 치료
      • 진통·해열제: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 비강 점막 수축제: 일시적 유스타키오관 환기 도움(단기 사용)
      • 항생제: AOM 확진 시 시작
    •  

     

     

    항생제 선택 및 투여 지침

    • 1차 선택: 아목시실린(최고 용량 80–90 mg/kg/day, 10일)
    • 페니실린 알레르기: 클린다마이신 또는 가타실린
    • 치료 실패 시: 암피실린·설박탐, 세포탁심·세프트리악손 주사
    • 만성 배출성 중이염: 국소 항생제(항생제 귀약) + 청결 유지

    수술적 치료

    • 고막절개 및 배액(For AOM)
      심한 통증·호흡장애 시 천자 후 배액
    • 환기관 삽입술(Tympanostomy Tubes)
      반복적 AOM 또는 3개월 이상 지속 OME 시 중이강 환기 및 압력 조절
    • 유양돌기 절제술(Mastoidectomy)
      만성 유양돌기염 및 골괴사 시

    예방 및 관리

    • 백신 접종
      폐렴구균·인플루엔자 백신으로 중이염 위험 감소
    • 알레르기 관리
      집먼지진드기 차단,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 환경 조절
      금연, 실내 환기, 적정 습도 유지(40–60 %)
    • 건강 관리
      충분한 수면, 균형 식사, 스트레스 관리

     

     

     

    추후 관리 및 예후
    소아 AOM은 항생제 치료로 대다수 호전되나, 반복 발작 시 청력 저하·언어 발달 지연 위험이 있다. OME의 장기 지속 시 청력 검사 및 수술적 중재를 고려해야 한다. 성인의 만성 중이염은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전문적 접근이 필수이다.

    위와 같은 단계별 평가·치료·예방 전략을 통해 중이염의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igned by Tistory.